본문 바로가기
CAD 문제 해결

오토캐드 Customization: 나만의 명령어를 만드는 방법

by 디코띠 2025. 6. 8.


디코작업실의 디코띠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lisp파일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오토캐드는 모든 명령어가 진행되는 순서가 있기도 하지만 꼭 이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규정은 따로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본인이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변경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도 리습(.lsp) 파일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어떠한 구조로 되어 동작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만의명령어
나만의명령어

응용프로그램로드/언로드 작동 개념 이해


명령어 : Appload / 이 명령어는 리습(.lsp)파일을 불러 들아가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acad.pgp파일은 캐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자동으로 불러오는 구조입니다.
리습파일 역시 동일하게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자동으로 불러와 사용하도록 해야 작업하는데 불편함이 없습니다.
회사나 집에서 사용하는 개인 PC는 이렇게 설정하고 사용하면 되는 것입니다.

설정 방법

우선 리습파일이 위치하는 저장소를 정하는 것입니다.
파일은 아래쪽에 보시면 "myshortcuts.lsp" 다운로드 버튼이 있습니다. 다운로드하신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

어느 폴더든 상관없이 본인이 편하게 쓸 수 있는 곳이면 상관없습니다. 전 주로 c:\lisp\ 이 위치에 두고 사용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Appload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AutoCAD를 실행합니다.
2. AutoCAD 명령창에 APPLOAD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3. 한번 로드할 경우
     응용프로그램 로드/언로드' 대화상자에서 본인이 저장한 폴더로 이동합니다.
3-1. 저장한 'myshortcuts.lsp'파일이 있는 폴더에서 파일을 선택 후 로드를 클릭하고 닫기를 클릭하여 창을 닫습니다.
4. 항상 로드할 경우: '응용프로그램 로드/언로드' 대화상자에서 하단에 '목차'를 클릭합니다.
     시작하기세트 창에서 하단의 추가를 선택하여 본인이 저장한 폴더로 이동합니다.
     'myshortcuts.lsp'선택하고 열기를 누른 후 닫기 > 닫기로 빠져나옵니다.
5. 이제 리습파일이 적용되었으므로 본인이 변경한 단축명령어를 실행해 보면 정상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중요: 작업을 하려는 캐드화면에서 리습파일을 처음 로드할 경우(개인 PC) 3번부터 4번까지 전부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APPLOAD
APPLOAD

드래그 방식과 appload 비교


제가 사용하는 기준으로 한번 더 얘길 하겠습니다.
1. 드래그 방식 : 외부출장이나 리습을 만들고 난 후 테스트를 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중요 1. 드래그하여 파일을 화면에 넣을 경우 항상 로드가 있긴 하지만 현재 파일의 위치가 바뀌면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중요 2. 항상 로드를 하고 싶다면 위 설정방법의 4번을 참고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2. Appload 설정 : 사무실 PC와 개인 PC에 주로 설정하여 사용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적용된 파일 myshortcuts.lsp 다운로드는 아래 버튼 클릭하시면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myshortcuts.lsp
0.00MB

"myshortcuts.lsp"파일을 수정하는 방법간단한 적용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이전 페이지 버튼

마무리하며

이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내용인  myshortcuts.lsp 파일을 어떻게 적용하지에 대해 상황에 맞는 방법으로 직접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확인하였습니다. 다.
오토캐드는 모든 명령어가 진행되는 순서가 있기도 하지만 꼭 이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규정은 따로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본인이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변경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리습파일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게 되셨으니 이제 자칭 초보안 분들은 이제 초보자가 아닙니다.
실무에 오랜 기간 있던 사람도 리습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이 생각보다 훨씬 많습니다.
이제 리습만 만들면 업무가 많이 편해집니다. 단순 반복작업이 많이 이 업무가 단순해질 수 있습니다.